변수와 입출력

이번에는 변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변수는, 특정 이름에 특정 값을 담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x라는 이름에 1이라는 값을 넣는다고 가정해봅시다.
코드는 이렇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꼭 x가 아니여도 자신이 하고 싶은 변수명으로 하셔도 무관합니다!
그리고 꼭 변수가 '=' 기준으로 왼쪽에 있어야 합니다!

not found

앞으로 우리가 x를 조회하면 x는 1을 가리키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전에 썼던 print()를 통하여 x값을 출력하도록 해보세요.

not found

이렇게 특정 이름에 특정 값을 설정하는 것을 우리는 선언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x는 1이야'라고 알려주는 것입니다.
변수는 바뀔 수 있는 값을 말합니다. 한번 값을 선언하고 나서 바꿀 수 있습니다.

not found

변수명 규칙

변수를 선언할 때에 몇 가지의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1) 알파벳, 숫자, 언더바(_)로 선언 가능하다.
2) 의미 있는 단어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
3) 대소문자를 구분하여야 한다.
4) 특별한 의미가 있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데이터 타입

Python에서는 테이터는 타입에 따라서 논리형, 수치형, 구조형으로 구분됩니다. 일반적으로는 숫자와 문자, 그리고 구조에 따른 저장을 위해서 여러가지 구분된 자료형을 제공합니다.
많은 자료형이 있으니, 상황에 따라서 그에 맞는 자료형을 쓰시면 됩니다.
이 강의에서는 숫자, 문자열, 논리형 정도만 간단하게 집고 넘어가겠습니다.

숫자

먼저, 이미 사용해 보았던 숫자는 바로 변수에 대입하시면 됩니다.

not found

문자열

이번엔 문자열을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열은 텍스트 형태의 값을 작은 따옴표 혹은 큰 따옴표로 감싸서 선언합니다.

not found

작은 따움표와 큰 따움표 사용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습니다. 둘 다 사용하셔도 무관하지만, 하나만 선택하여 사용하시는 것이 편합니다.

논리형(Boolean)

마지막으로 논리형(Boolean)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Boolean은 '참' 혹은 '거짓' 두 가지 종류의 값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not found

참은 True, 거짓은 False입니다.
첫 문자는 대문자로 입력하셔야 오류가 안납니다!

입출력

이번엔 입출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입력은 input("텍스트"), 출력은 print("내용")로 합니다. 입력에서 텍스트 부분은 생략 가능합니다.
그러면 실습을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ot found

실습에서 알수 있듯이 input으로 받아온 타입은 기본적으로 문자열 형태이고 정수형이나 실수형으로 변경하고 싶으면, int(input()), float(input())처럼 원하는 변수형으로 감싸주면 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변수와 입출력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데이터 타입은 프로그래밍에서 거의 필수로 쓰이기에 좀 더 자세히 공부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results matching ""

    No results matching ""